일주일에 한 번 (가능한) 전세, 매매, 월세 매물 건수 추이를 비교하여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최근에 기사를 보면 매매 매물이 줄어들고, 전세 매물이 늘어나고 있다는 기사가 많이 보이는데, 도별로 현황이 어떠한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서울
매매 물량은 22년 6~7월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점점 매물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대신 전세와 월세 매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매매로 물건이 안 나가기도 하고, 너무 낮춰서 팔 바에는 전세나 월세로 내놓고자 하는 집주인들의 심리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전세, 월세는 22년 10월까지 증가 추세에 있다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를 보입니다.
2. 부산
부산 역시 10월부터 매매, 전세, 월세 물량이 조금씩 줄어는 현상을 보입니다. 서울에 비해 감소폭은 적습니다.
3. 대구
대구도 부산과 마찬가지로 10월 전체 물량이 적점을 찍고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이기는 하지만, 마찬가지로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4. 인천
인천은 지금까지 도시들과 달리 아직 전월세의 감소폭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매매 물량은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입주물량이 많은 점이 전세와 월세 물량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5. 광주
광주도 22년 10월 이후 약간 감소 추세이긴 하나,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6. 대전
대전에서도 전체적으로 매물이 소폭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7. 울산
울산도 전체 매물이 조금씩 줄어드는 등 큰 변화는 없습니다.
8. 세종
9. 경기
경기도 역시 전체적으로 매물이 소폭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10. 강원
11. 충북
12. 충남
13. 전북
14. 전남
15. 경북
16. 경남
17. 제주
제주는 다른 지역과 다르게 아직 전세, 월세 물량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장기간의 추세를 봐야 하지만, 전체적으로 22년 10월을 기점으로 매매, 전세, 월세 물량이 소폭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기간의 추세이기 때문에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부동산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 매수우위지수 광역시, 도별 추이 (2022.12.18) (0) | 2022.12.1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