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은 어르신들이 참 좋아하는 은행입니다. 우선 이름만 들어도 안정적인 이미지가 있으면 공기업 중 연봉도 높고, 워라밸도 좋기 때문입니다
다만 공기업이기 때문에 시중은행에 비해 연봉과 성과급이 낮은 게 단점입니다.
하지만 장점으로 고용안정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최근 성과급 때문에 노조 시위가 일어나는 등 이슈가 많습니다.
1. 기업은행 성과급
기업은행은 공기업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정한 가이드라인을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에서 기업은행 경영실적을 평가하고 S~E까지 성과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 S등급: 기본급의 200%
- A등급: 기본급의 180%
- B등급: 기본급의 150%
- C등급: 기본급의 110%
사실 이것 때문에 기업은행 내부에서 반발이 많은데요, 솔직히 시중은행에 비해 성과급이 낮은 편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알겠지만 2023년에는 다른 은행들에 보통 200% 이상을 받을 때도 110%를 받는 등 차이가 심해보입니다.
연도 | IBK기업은행 | KB국민은행 | 신한은행 | NH농협은행 |
2021 | S등급 (200%) | 300% | 300% | 350% |
2022 | A등급 (180%) | 280%+340만원 | 361% | 400% |
2023 | C등급 (110%) | 230% | 281% | 200%+300만원 |
물론 공기업이기 때문에 다른 은행들에 비해 고용안정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현직자 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아쉬운 게 사실이라 합니다.
2. 기업은행 연봉
기업은행 기본급을 대표 시중은행들과 비교해 봤는데요, 실제로 낮은 편이긴 합니다.
물론 다른 공공기관에 비하면 높은 연봉이긴 하지만 사기업들인 금융기관에 비하면 확실히 낮습니다.
은행 | 2024년 평균 연봉 |
IBK기업은행 | 8,528 |
KB국민은행 | 12,000 |
신한은행 | 11,300 |
NH농협은행 | 11,069 |
다만 큰 사고를 치지 않으면 사실상 정년이 보장되는 곳이고, 워라밸이 좋기 때문에 개인 선택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아이를 키우기는 엄마가 다니기 좋은 회사라고 합니다.
그럴만한 게 칼퇴에 시중은행에 비해 업무강도도 적당하고 어린이집도 잘 되어있어서 추천할만합니다.
사원
신입 초봉은 성과급을 포함해서 약 5,500 ~ 5,700만 원을 받습니다.
신한은행 6,200만 원, 하나은행 2년 차에 6,000 ~ 7,000만 원, 국민은행 7,000만 원 정도와 비교하면 확실히 낮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기업에 입사한다는 메리트를 더하면 신입 초봉 5,700만이라는 것은 절대 적은 게 아닙니다.
물론 우리는 모두 비교하면서 살기 때문에 낮다고 생각할 수 있고, 사내에서 불만의 의견이 나오는 것은 당연합니다.
대리
대리 평균 연봉은 약 7,800만 원입니다.
문과 탑티어 대기업에 비하면 적을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고용환경이 안정적인 공기업에 입사할 수 있다면 저도 들어가고 싶습니다.
회사를 다녀보니 꾸준히 안정적인 수입이 들어와야 편안한 마음으로 재테크도 할 수 있고 리스크가 큰 투자도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과장
기업은행은 진급이 빨라서 5 ~ 6년 차면 과장 직급을 달 수 있습니다.
과장 1년 차의 경우 성과급 포함 연봉은 9,600만 원대입니다.
과장 승진이 꽤 빠른데 5~6년 차 사회생활에 연봉 9,600만 원이면 어디 가서 꿀리지 않습니다.
부장 (지점장)
부장 평균 연봉은 약 1억 2,900만 원입니다.
부장 직급부터 명예로운 지점장을 달 수 있습니다.
다만 부장 승진은 아무나 할 수 없고 과장 승진자 중에 약 5% 미만만 승진이 가능합니다.
직장인의 꿈의 연봉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1억 2,900만 원 연봉이라고 해도 실수령액은 800만 원입니다.
결국 드라마틱하게 세상이 바뀌는 것은 아니며, 절약하고 재테크를 해야지 경제적 자유에 이를 수 있습니다.
지점장 연봉 역시 다른 시중은행 대비하면 조금 낮은 편입니다.
- KB국민: 1억 5,700만 원
- 신한: 1억 6,200만 원
- NH농협: 1억 4,500만 원
3. 기업은행 워라밸
기업은행 워라밸은 좋기로 소문나있습니다.
현직자가 평가한 워라밸 점수도 5점 만점에 4점입니다. 제가 봤던 회사들 중 거의 상위권에 속합니다.
연차를 자유롭게 쓸 수 있고 고용안정성이 좋은 공기업입니다.
사실상 정년이 보장되기도 하고, 시중은행과 비교하면 낮지만 전체적인 공기업 기준으로 봤을 때 연봉 순위는 상위권에 속합니다.
2023년 기준 공기업 연봉순위는 1위 한국가스공사, 2위 한국산업은행, 3위 한국투자공사, 그리고 4위가 기업은행입니다.
물론 대외 인지도도 좋습니다. 국책 은행에 다닌 다는 자부심도 있고요.
연차를 2시간씩 쪼개서 쓰는 반반차제도, 사람 냄새나는 회사, 근무시간이 잘 지켜져서 칼퇴 문화등도 자랑할만합니다.
4. 기업은행 복지
육아
제가 아이 키우기 좋은 회사라고 말씀드렸는데, 우선 육아휴직을 3년 쓸 수 있습니다.
사실 일반 사기업에서 육아휴직 3년 쓰는 것은 눈치 보여서 어려운 일인데, 공기업인만큼 부담이 없습니다.
전국에 13개 어린이집도 운영하고 있는데 A등급 평가를 받은 만큼 믿고 보낼 수 있습니다.
주거
물론 국책은행이기 때문에 정부지원대출과 버금가는 저금리 주택자금대출도 매력적입니다.
만약 주택자 직원이라면 회사에서 주택을 임차해서 제공하기도 하고, 미혼자 대상으로 기숙사도 운영하고 있어서 월세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숙사는 1인실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단점은 있지만 개인적으로 월세 아끼는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의료
본인과 가족에게 건강검진 년 1회 무료로 제공하고, 본인 의료비는 연간 한도 없이 지원합니다.
저는 이게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몸이 아프면 참 서럽거든요.
회사에서 의료비라도 지원해 주니 마음이 좀 풀릴 것 같습니다.
이외에 연간 100만 원 복지포인트를 제공해서 가전을 구매하거나 필요한 생활용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업은행 연봉과 복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글도 참고 바랍니다.
'돈버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에스디에스 연봉 성과급 워라밸 정리 현직자 정보 (1) | 2025.02.06 |
---|---|
대한항공 인턴 정직원 승무원 연봉 정리 생각보다 많네 (1) | 2025.02.05 |
LG전자 성과급 연봉 워라벨 복지 정리 생각보다 높다 (2) | 2025.02.03 |
삼성화재 성과급 연봉 워라벨 정리 우리나라 1위 보험사 (0) | 2025.02.02 |
메리츠화재 직급별 연봉 성과급 보험사중 최고 (0) | 2025.02.01 |
댓글